청춘의 노래방
대중가요 역사, 가사, 배경, 음악 뉴스
(다음으로 이동...)
홈
▼
레이블이
일제강점기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일제강점기
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8월 26일 토요일
[앨범 소개] 나그네 설음 / 남양의 눈물
›
나그네설음 / 남양의 눈물 '설음'은 당시 사용된 문법체계이며, 현제는 '설움'으로 사용한다. 곡 소개 발매일 1940년 2월 제작사 타이헤이 앨범유형 스플릿 앨범번호 8665 수록곡 나그네 설음 / 백년설 / 조경환 /...
[앨범 소개] 산팔자물팔자 / 번지업는주막
›
산팔자물팔자 / 번지업는주막 앨범 소개 발매일 1940년 8월 제작사 타이헤이 앨범유형 독집 앨범번호 GC-3007 백년설 [수록곡] 산팔자 물팔자 / 백년설 / 처녀림 / 이재호 번지 없는 주막 / 백년설 / 처녀림 / 이재호 '번지 업는...
2023년 8월 25일 금요일
[앨범 소개] 부모의은덕가 / 학도가 관학가
›
부모의은덕가 / 학도가 관학가 [앨범 소개] 이 앨범은 1923년 발매된 것으로 <부모의 은덕가>와 <학도가> <권학가>가 들어가 있다. 흥미롭게 앨범에는 태극 무늬가 들어가 있다. 한국 최초의 앨범으로 만들어진 창...
[앨범 소개] 노래가락 / 사랑의 수건
›
노래가락 / 사랑의 수건 [앨범 소개] 발매일 1925년 제작사 일축 와시표 [수록곡] 노래가락 / 길진홍 백목단 사랑의 수건 / 도월색
2023년 2월 20일 월요일
봄 아가씨, 가사, 이난영
›
<목포의 눈물> 유명한 이난영의 다른 곡이다. 앞면에는 <목포의 눈물>이 있었고, 뒷면에 <봄 아가씨>가 있었다. 봄이 오는 풍경을 노래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 어두웠던 식민지의 삶과 더불어 삶을 즐기려는 양면성이...
고향, 가사, 채동선 작곡
›
<고향>은 1936년 채선엽이 작곡한 곡이다. 채동선은 도쿄에서 음악을 공부했으며, 베르트라메리 요시코를 사하하여 벨칸토 창법을 배웠다고 한다. 고향은 오빠인 채선엽이 보내준 곡이다. 채동선의 고향은 전라남도 벌교이다. 고향 정지용 작시,...
가려나, 가사, 나운영 작곡
›
가려나, 사랑의 덧없음을 노래하다. 가려나 김안서 시, 나운영 작곡, 1940년 1월 16일 동아일보 '당선 작곡'으로 발표된 곡이다. 동아일보사가 전국에 작곡노래를 모집한 대상인 셈이다. 실연의 아픔과 공허함을 담은 김안서의 시에 곡...
애국가, 가사, 안익태
›
지금은 애국가를 외우지 않기에 잘 모른다.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그 다음이 뭐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필자의 세대는 조회마다 불렀기 대문에 모를 수가 없다. 애국가 가사 1절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
봄이오면, 가사, 김동진 작곡
›
봄이 오면 사랑이 피고 봄이 오면 <봄이 오면>을 불러야 하지 않을까? 김동진의 또 다른 노래인 <봄이 오면>은 아직도 정말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은 곡이다. 봄이 오면 김동환 작시, 김동진 작곡 [가사] 봄이 오면 산에 들에...
내 마음, 가사, 김동진 작곡
›
독립운동의 마음을 담아 노래하라 < 가고파 >로 유명한 김동진은 지금도 여전히 수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노래 <내 마음>을 작곡하기도 했다. 자신이 좋아하던 시를 곡을 붙였다. 조국을 사랑하는 이들에의해 점점 사랑을 받게 ...
가고파, 가사, 김동진 작곡
›
그리운 고향을 회상하다 가고파는 마신 출신 시인 이은상의 시조에 김동진이 곡을 붙인 가곡이다. 김동진이 숭실전문 2학년 재학 중에 작곡한 곡으로 당시 19세였다고. 이은상의 시에 감동을 받은 김동진에 기숙사로 돌아가는 길에 곡을 붙였다고 한다. 그때가...
고향생각, 가사, 현제명
›
현제명 작시 작곡으로 알려진 <고향 생각>은 1923년 미국 유학 시절 고향을 그리워하며 작곡한 가곡이다. 1931년 <현제명 작곡집>에 수록되어 있다. 고향을 떠나 떠돌아야 했던 식민지 백성들의 아픔이 담겨 있다. [가사] 해...
내 고향을 이별하고, 가사, 안기영
›
안기영, 삶과 앨범 안기영은 충남 공주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유학까지 다녀온 당시로서는 보기 드문 인재였다. 하지만그는 교편을 잡고 있던 김현순과 사랑에 빠지고 말았다. 당시 큰 화제거리였다. 그는 이미 아내가 있는 몸이었기 때문이다. 1925년 11월...
성불사의 밤, 가사, 홍난파
›
시대 정신을 일깨운 독립 운동가 성불사의 밤 이은상 작시, 홍난파 작곡 [가사] 성불사의 깊은 밤에 그윽한 풍경 소리 주승은 잠이 들고 객이 홀로 듣는구나 저 손아 마저 잠들어 혼자 울게 하여라 댕그런 울린 제면 더 울릴까 맘 졸이고 끊일 젠 또...
2023년 2월 19일 일요일
봄 처녀, 가사, 이은상 시, 홍난파 작곡
›
봄 처녀 홍난파는 깨어 있는 음악가였다. <봉선화>가 많은 사랑을 받은 것을 확인한 홍난파는 더 많은 곡을 작곡하기 시작한다. 1922년 연악회를 창설하고 독립정신을 담은 노내를 작곡하는 데 힘을 썼다. 1925년 조선 최초의 음악 잡지 ...
봉선화, 김형준 시, 홍난파 작곡
›
조선의 처녀, 민중의 저항 정신을 담다 <봉선화>는 삼일운동이 일어나 얼마 지나지 않을 때인 1920년 만들어진 조선 최초의 가곡이다. 울 밑에 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 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 필 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학도가, 가사,
›
학도가란? 학도가는 젊은 청년들에게 열심히 살도록 권하는 내용입니다.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개신교가 조선에 들어오면서 서양 음악도 함께 들어오게 됩니다. 선교사들은 초기에 의료 선교에 집중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조선사람들에게 신문물을 전하고, 근대교...
›
홈
웹 버전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