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26일 토요일

맘보 노래 모음

 맘보 노래


맘보(Mambo)란 무엇인가?



맘보는 라틴 계열의 음악의 한 장르이다. 쿠바를 중심으로 번져 나간 음악으로 댄스를 위한 음악스타일이었다고 한다. 맘보의 원의는 아이티 토착종교인 부두교의 여 사제의 이름으로 뜨은 '신과의 대화'라고 한다. 아마도 신에게 제사하면서 춘 춤을 보고 그녀의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체계적인 음악으로 자리잡은 것은 1938년 오레스테스와 카초 로페즈라고 한다.


맘보의 대표적인 곡 맘보 NO.5





맘보 노래 목록

노래명 / 가수 / 작사 / 작곡/ 편곡 / 발표해


월급날 맘보 / 김용만 / 손로원 / 손목인 / 1950년?

맘보 / 현인 / 1950년?

맘보타령 / 한복남 / 이철수 / 한복남 / 1950년대


한복남의 맘보타령



아리랑맘보 / 전영주 / 나화랑 / 현동주 / 나화랑 / 1955년

손벽치기 맘보 / 박경원 / 세고석 / 전오승 / 전오승 / 1956년

나포리 맘보 / 현인 / 고명기 / 박춘석/ 박춘석 / 1956년


현인 나포리 맘보




늴리리 맘보 / 김정애 / 탁소연 / 나화랑 / 나화랑

맘보는 난 싫어 / 나애심 / 유광주 / 전오승 / 전오승 1959년

항구타령 맘보 / 고봉산 / 이철수 / 고봉산 / 1960년대

명동맘보 / 김용만 / 반야월 /  / 1960년대

차이나 맘보 / 백일희 / 백호 / 박춘석 / 박춘석 / 1960년대


백일희 차이나 맘보



추억의 맘보 / 천숙 / 석운 / 김성근 / 1960년대

춘양이 맘보 / 황금심 / 안정애 / 김부해 / 1960년대

맘보 야이야이 / 송민도 / 김영일 / 윤일로 / 1960년대

풍년 맘보 / 백야성 / 김진경 / 이영구 / 1960년대

맘보가 나는 좋아요 / 박재란 / 김성운 / 손목인 / 손목인 / 1960년대

슬픔의 맘모 / 최숙자 / 월견초 / 전오승 / 1960년대

아낙네 맘보 / 김정애 / 반야월 / 전오승 / 1960년대

도라지 맘모 / 심연옥 / ?  / 나화랑 / 나화랑 

쎅스폰 맘보 / 차은희 / 이철수 / 김화영 / 1960년대?

날라리 맘보 / 김유경/ 유노완 / 한복남 / 1960년대

맘보쟘보 / 김정구 / 

크레이지 맘보 / 한아랑 / 유광주 / 한복남 / 1960년대

 아리스리도라지맘보 / 전혜인 / 이강수 / 이병주 / 이병주 / 1960년대

체리핑크맘보/ 안다성 / 손영감 /  ? / 송운선 / 1960년대

쾨지나 칭칭 맘보 / 비둘기 자매 / 반야월 / 고봉산 / 1960년대

춘양이 맘보 / 황금심 / 안정애 / 김부해 / 김부해 /1960년대

마로도스 맘보 / 백야성 / 이철수 / 한복남 / 1960년대

양산도 맘보 / 황금심 / 이철수 / 한복남 / 1960년대

청춘맘보 / 김근자 / 반야월 / 김호길 / 김호길 / 1961년

후라이맘보/ 김용만 / 손영감 / 김용만 / 송운선 /1961년

찌르릉 맘보 / 황금심 / 손로원 / 김용만 / 1961년

초립동 맘보 / 황금자 / 이철수 / 한복남 / 1961년?

정열의 맘보 / 원방현 / 손로원 / 전오승 / 전오승 / 1963년



맘보 빰보 차차차 / 이상기 / 석운 / 하기송 / 하기송 / 1963년

맘보세상 / 최숙자 / 이철수 / 김화영 / 1965년

슬픔의 맘보 / 최숙자 / 월견초 / 전오승 / 1965년

약장수 맘보 / 김정구 / 반야월 / 서영은 / 1966년?

맘보림보 챠챠챠 / 옥금옥 / 김진경 / 김영종 / 1966년

노총각 맘보 / 송해 / 윤일로 / 윤일로 / 1969년

맘보 천안삼거리 / 심연옥 / ? / 나화랑 / 1970년대?

코리안 맘보 / 김정구 / 손로원 / 한복남 / 1970년

첫사랑 맘보 / 오정심 / 강탁수 / 한복남 / 1970년




[앨범 소개] 나그네 설음 / 남양의 눈물

 나그네설음 / 남양의 눈물

'설음'은 당시 사용된 문법체계이며, 현제는 '설움'으로 사용한다.


곡 소개

  • 발매일 1940년 2월
  • 제작사 타이헤이
  • 앨범유형 스플릿
  • 앨범번호 8665





수록곡

나그네 설음 / 백년설 / 조경환 / 이재호

남양의 눈물 / 나성려 / 고려성 / 육오명


백년설을 최고의 스타로 만들어준 <나그네 설움>이 들어가 있는 곡이다.일제강점기 시절, 고향을 떠나 떠도는 생활은 나라 잃은 설움을 그대로 보여준다. 정처 없다. 한이 없다. 한이 서린다. 태양도 없다 등의 표현은 나라 잃은 설움을 잘 보여준다.


백녀설의 너그네 설음



[나그네 설움 가사]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 없는 이 발길
지나온 자국마다 눈물 고였다
선창가 고동소리 옛님이 그리워도
나그네 흐를 길은 한이 없어라

타관 땅 밟아서 돈지 십 년 너머 반평생
사나이 가슴속엔 한이 서린다
황혼이 찾아들면 고향도 그리워져
눈물로 꿈을 불러 찾아도 보네

낯익은 거리다마는 이국보다 차가워
가야 할 지평선엔 태양도 없어
새벽 별 찬서리가 뼈골에 스미는데
어디로 흘러 거랴 흘러갈쏘냐

나성려 남양의 눈물




나성려

나성려의 본명은 김숙희이며, 출생은 정확하지 않으나 1978년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저고리 시스터즈에서 활동했으며 히트곡으로는 <남양의 눈물> <임 찾는 발길> <절연편지> <무명화올시다> <쌍굴뚝 이별> 

[앨범 소개] 산팔자물팔자 / 번지업는주막

 산팔자물팔자 / 번지업는주막


앨범 소개

  • 발매일 1940년 8월 
  • 제작사 타이헤이
  • 앨범유형 독집
  • 앨범번호 GC-3007

백년설

[수록곡]

산팔자 물팔자 / 백년설 / 처녀림 / 이재호

번지 없는 주막 / 백년설 / 처녀림 / 이재호


'번지 업는 주막'에서 '업는'은 오타가 아니라 다시 사용한 한글 사용법으로 '없는'이 아니라 '업는'이었기에 그대로 실었다. 노래를 1939년에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


처녀림의 본명은 박영호이다. 고향이 함경남도 원산이었던 박영호는 해방 후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후 박영호는 금기의 이름이 되고 말았다. 그의 노래들은 상당부분 개사되어 재발매되었다.






[앨범 소개] 봄처녀 / 향수에 젖어 / 헤여진 군산항 / 내이름을 묻지마라

 봄처녀 / 향수에 젖어 / 헤여진 군산항 / 내이름을 묻지마라


곡소개

앨범 부제 / 송운석 작곡집

발매일 1965년

제작사 유니버어살제작





[수록곡]

SIDE A

1. 양수에 젖어 / 김철 / 고송 / 송운선

2. 호수가의 연인 / 김철 / 고송 / 송운선

3. 내 이름을 묻지마라 / 김철 / 엄포 / 송운선

4. 아가씨는 새침뚜기 / 한형제 / 한산도 / 송운선

6. 사투리 타령 / 한형제 / 반야월 / 송운선


SIDE B

1. 헤여진 군산항 / 박제연 / 송운선 / 송운선

2. 그날이 오면 / 박제연 / 한산도 / 송운선

3. 이별의 전주곡 / 박제연 / 문예부 / 송운선

4. 봄처녀 / 은방울자매 / 반야월 / 송운선

5. 고향은 남녁 항구 / 은방울자매 / 태영정 / 송운선

6. 어찌하리까 / 은방울자매 / 이영선 / 송운선





당신의 뜻이라면, 양미란

 당신의 뜻이라면


작사 황우루

작곡 정민섭

노래 양미란

발표 1975년





당신의 뜻이라면 가사

당신의 뜻이라면 하늘 끝까지

당신의 길이라면 따르겠어요 

 

눈보라 바윗길 가슴아파도

조용히 그대 위해 두손 모으고

 

당신의 뜻이라면 웃는 얼굴로

당신의 길이라면 따르겠어요




가수 양미란

 양미란

양미란 젊은 시절


양미란 소개

양미란은 1960년대 가장 왕성하게 활동한 미녀 가수였다. 서울에서 출생했다. 남편은 작곡가인 정민섭이며, 1980년 골수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남편 정민섭도 1987년 폐암으로 세상을 뜨고 말았다.


오리지날 힛송 종결산집 표지의 양미란


양미란 노래

당신의 뜻이라면

달콤하고 상냥하게

오빠는 내꺼야

범띠가시내

흑점

휘파람

외기러기

비와 태양

사랑하는 내 임아

너를 보내고

해피송

봄길

누굴 믿고 살란 말입니까

바이 바이 베이비

가버린 사랑

멋진놈 나야나

이 사람을 지켜 주세요

옹이

영원히 사랑해

살랑살랑

이제는 울지 않을 꺼예요

모정

내 사랑을 받아라

보릿고개

짝사랑

눈물의 기도

님은 먼곳에

이룰 수 없는 사랑

어머니




흑점, 양미란

 흑점


곡 소개

작사 황우루

작곡 정민석

노래 양미란

발표 1975년


<흑점>은 향미란 스테레오 힛트앨범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파격적인 내용으로 젊은이들의 가슴을 불태웠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흑점은 사랑한다는 말을 듣지 못해 태양의 흑점처럼 멍들어 버린 가슴을 표현하고 있다.




흑점 가사

아름다운 그 입술이 눈물에 젖어

흐느끼며 흐느끼며 사랑한다 말해주오

* 눈물이 넘쳐서 눈물을 마시며

태양의 흑점처럼 어두운 내가슴

말해주오 우리들의 잊지 못할 사랑을

말해주오 우리들의 영원한 사랑을




한복남, 엽전 열닷냥, 가사

 엽전 열닷냥 엽전 열닷냥 개요 작사 천봉 작곡 한복남 노래 한복남 발표 1955년 이 노래는 1955년 도미도레코드에서 발매된 [엽전열닷냥/오동동타령]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발표 당시 두 노래 모두 사랑을 받았지만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