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대는 전쟁을 겪으면서 산업 기반의 대부분 무너졌다. 대부분의 산업 기반은 북한에 있었다. 남한은 얼마 되지 않은 기반마저 무너짐으로 거의 폐허가 되다시피 했다. 하지만 음악은 항상 있었다. 1955년, 그러니까 전쟁이 끝난 후 2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은 때에도 사람들은 음악을 즐겼고, 영화를 만들었다. 이 노래는 박시춘이 1955년 개봉된 <구원의 애정>에 삽입하기 우위하여 지은 곡이다. 영화 안에서 나애심이 불렀지만 후에 정식음반으로 출시될 때는 백설희가 부른다.
물새우는 강 언덕
손석우 작사, 박시춘 작곡, 백설희 노래 / 나애심 노래
[가사]
가사
물새 우는 고요한 강 언덕에
그대와 둘이서 부르는 사랑 노래
흘러가는 저 강물 가는 곳이 그 어데뇨
조각배에 사랑 싣고 행복 찾아 가자요
물새 우는 고요한 강 언덕에
그대와 둘이서 부르는 사랑 노래
흘러가는 저 강물 가는 곳이 그 어데뇨
조각배에 사랑 싣고 행복 찾아 가자요
물새 우는 고요한 강 언덕에
그대와 둘이서 부르는 사랑 노래
구원의 애정은 민경식 감독으로 1955년 5월 12일 개봉한 영화이다.
주연 윤일봉, 나애심, 추석양, 성소민
일봉과 애심은 연인 사이다. 하지만 갑가지 6.25 전쟁이 일어나 일봉은 입대를 하게 된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일봉의 전사통지서가 전해진다. 슬픔에 빠진 애심은 매일 일봉을 생각하며 함께 사랑을 속삭이던 강가를 찾아 배회하며 지낸다. 그러다 죽은 줄 알았던 일본이 다친 몸으로 강변에 나타난다. 둘은 서로 껴안고 기뻐하며 영화를 막을 내린다.
<푸른 언덕>은 1958년 현인이 센츄리 레코드를 통해 발표한 곡이다. 이 곡은 1948년 영화음악으로 제작된 것으로 다시 음반으로 발매한 곡이다. 현인이 영황도 출현하여 유명해진 노래다.
푸른 언덕
김영일 작사, 황문평 작곡, 현인
[가사]
물방아 개울가에 철쭉꽃이 피던 날
향내 어린 하늘가엔 옛 추억이 피었소
아지랑이 봄빛 타고 희망을 찾아
아득한 지평선엔 꿈이 어렸소
녹음 진 잔디 위에 파랑새가 울던 날
붉게 필 화원 속에 옛 사랑이 깃들었고
언덕 넘어 바람 타고 희망을 찾아
그리운 순정 속엔 꿈을 길렀고
영화<푸른 언덕>은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 영화라 할 수 있습니다. 현인이 주연을 맡아 시골에서 상경하여 톱 가수가 되어 시골에 정든 금녀와 결혼한다는 이야기다. 많은 인기를 얻었지만 순수한 사랑을 잃지 않는 당시의 사랑을 그리고 있다. 특이하게 개봉일은 1948년 8월 15일이다. 출연으로 현인, 김은희, 서월영, 김복자, 강석제가 있다. 감독은 유동일이다.
정훈희의 <안개>는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영화화 한 동명 영화의 주제곡이다. 첫앨범은 1967년에 발표되었다. 박해일과 탕웨가 주연을 맡은 박찬욱 감독의 <헤어질 결심>의 주제곡으로 다시 불려졌다. 칠십이 넘은 나이에 아련한 목소리를 수많은 사람들을 조용히 눈물 흘리게 했다.
[가사]
나 홀로 걸어가는 안개만이 자욱한 이 거리
그 언젠가 다정했던 그대의 그림자 하나
생각하면 무엇 하나 지나간 추억
그래도 애타게 그리는 마음
뚜루 뚜루루루 뚜룻뚜
뚜루 뚜루루루 뚜룻뚜
그 사람은 어디에 갔을까?
안개 속에 외로이 하염 없이 나는 간다
돌아서면 가로막는 낮은 목소리
바람이여 안개를 걷어가다오
뚜루 뚜루루루 뚜룻뚜
뚜루 뚜루루루 뚜룻뚜
그 사람은 어디에 갔을까?
안개 속에 눈을 떠라
눈물을 감추어라
정훈희는 친척과 가족이 대중가요와 깊은 연관이 있다. 부산에서 태어난 정훈희는 아버지 정근수는 피아니스트였고, 작은 아버지는 밴드 마스터, 큰 오빠 정희택은 기타리스트였다. 노래를 너무 좋아했던 정훈희는 여고 1학년 때 서울로 올라간다. 오빠의 소개로 서울 그랜드호텔에서 밤무대에서 일을 했다. 정훈희의 데뷔 앨범이기도 한 이 노래는 노래가 출시 되기 전 데모 앨범으로 각 방송사에 보내졌다. 라디오에서 한 번 듣고 수많은 청취자들의 요청이 쇄도하고 결국 몇 곡을 더 엊어 첫 앨범이 탄생한 것이다.
이번에 탕웨이가 출연한 <헤어질 결심>의 OST로 삽입되었다. 이렇게 보면 동일한 곡이 두 번이나 영화에 사용되었다. 흔하지 않는 일이다. 박찬욱 감독은 <헤어질 결심>을 정훈희의 <안개>를 들으며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니까 노래를 위한 영화였던 것이다.
안개는 모호함 그 자체다. 처음 <무진기행>을 읽었을 때 큰 충격을 받았다. 서해안의 안개 낀 해변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소설은 뭔가 모를 답답하지 않는 답답함에 빠져들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