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26일 토요일

흑점, 양미란

 흑점


곡 소개

작사 황우루

작곡 정민석

노래 양미란

발표 1975년


<흑점>은 향미란 스테레오 힛트앨범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파격적인 내용으로 젊은이들의 가슴을 불태웠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흑점은 사랑한다는 말을 듣지 못해 태양의 흑점처럼 멍들어 버린 가슴을 표현하고 있다.




흑점 가사

아름다운 그 입술이 눈물에 젖어

흐느끼며 흐느끼며 사랑한다 말해주오

* 눈물이 넘쳐서 눈물을 마시며

태양의 흑점처럼 어두운 내가슴

말해주오 우리들의 잊지 못할 사랑을

말해주오 우리들의 영원한 사랑을




달콤하고 상냥하게, 양미란

 달콤하고 상냥하게


곡 소개

작사 지웅

작곡 정민섭

노래 양미란

발표 1975년





양미란의 <달콤하고 상냥하게>는 정민섭 작곡집에 들어가 있다. '달콤하고 상냥하게 불타는 마음을 주세요'라고 애정을 갈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당시 사회적 분위기와 다르게 매우 도달적이고 여성 주도적인 사랑을 드러낸다.




달콤하고 상냥하게 가사


달콤하고 상냥하게 살며시 단둘이 정들면

어찌하면 좋을가요 차라리 모른체 할래요

넓고넓은 세상에서 내맘에 든 당신이

이마음 모르신다면 너무나 야속해요

너무나 야속해 이 마음 모르신다면

달콤하고 상냥하게 불타는 마음을 주세요

영원토록 변치않을 뜨거운 사랑을 주세요


달콤하고 상냥하게 그이가 싸움을 걸어요

어찌하면 좋을가요 차라리 지는체 할래요

많고많은 사람중에 내맘에 든 당신이

이마음 울리신다면 너무나 무정해요

너무나 무정해 이마음 울리신다면

달콤하고 상냥하게 넘치는 마음을 주세요

영원토록 변치않을 뜨거운 사랑을 주세요

뜨거운 사랑을 주세요 뜨거운 사랑을 주세요

뜨거운 사랑을 주세요

휘파람, 양미란

휘파람


작사 지명길

작곡 정민섭

편곡 정민섭

노래 양미란

발표 1975년


휘파람은 1970년 8월 5일 발매한 정민섭 작곡집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양미란 독집 앨점이며, 작사는 지명길, 지웅, 황우루, 정민섭, 이용찬, 임희재가 참여했고, 모든 작곡은 정민섭이 했다. 

 




휘파람 가사


가슴속에 파고들라 차디차게 스며들라

밤을 잃은 사나이의 흐느끼는 휘파람소리


아~아~ 들려오는 소리

아~아~ 파고드는 소리

어둠속을 헤매인다 길을 잃고 헤매인다

울고 있는 사나이의 흐느끼는 희파람소리


아~아~ 울려주는 소리

아~아~ 떠나가는 소리

믿어버린 그 마음을 남겨두고 떠나가네

믿어지는 사나이의 흐느끼는 휘파람소리



[앨범 소개] 홍도야 울지 마라, 김영춘

 홍도야 울지 마라


[앨범 소개]

  • 앨범 부제 김영춘 옛노래선집
  • 발매일 1960년대
  • 제작사 미도파음반공사
  • 앨범유형 베스트앨범
  • 앨범번호 LM 10529


*홍도야 울지 마라는 1939년에 발표된 노래이다. 김영춘의 이후 앨범에 자주 등장한다. 김영춘을 대 스타로 만들어준 노래이며, 지금도 여전히 인기있는 곡이다. 김영춘은 경남 김해 어방동 출신이며, '항구의 처녀설'로 데뷔했다.

[수록곡]

SIDE A

1. 홍도야 울지마라 / 김영춘 / 이서구 /김준영
2. 청춘마차/ 김영춘 / 서정권/ 이용준
3. 버들잎 신세 / 김영춘 / 김기태 / 김기태
4. 달 뜨는 팔공상 / 김영춘 / 차일봉 / 백성봉

SIDE B

1. 썰매야 가자 (국경특허) / 김영춘 / 서정권 / 이용준
2. 포구의 여자 / 김영춘 / 서정권 / 남방춘
3. 찾아본 내 고향 / 김영춘 / 김기태 / 김기태
4. 울지 마라 철진아 /  김영춘 / 천봉 / 박현





회전의자, 김용만

 회전의자


곡 소개

이 노래는 KBS 연속극 <회전의자> 드라마의 주제곡이다.

  • 앨범부제 하기송 작곡집
  • 발매일 1966년
  • 제작사 도미도레코드사
  • 앨범유형 컴필레이션


1970년 발매된 김용만의 독집 <김용만 힛트앨범>에 들어가 있다.





회전의자 가사


1절

빙글빙글 도는 의자 회전의자에

임자가 따로있나 앉으면 주인인데

사람없어 비워둔 의자는 없드라

사랑도 젊음도 마음까지도 

가는 길이 험하다고 밟아버렸다

아~ 억울하면 출세하라 출세를 하라


2절

돌아가는 의자야 회전의자야

과장이 따로 있나 앉으면 과장인데

올 때마다 앉을 자린 비어 있드라

잃어버린 사랑을 찾아보자고

밟아버린 젊음을 즐겨보자고

아~ 억울해서 출세했다 출세를 했다






[앨범 소개] 김용만 가요 힛트앨범

 김용만 가요 힛트앨범


[앨범 소개]

발매일 1970년 5월 18일

제작사 도미도레코드

앨범유형 정규앨범


김용만 힛트앨범 표지



김용만 독집 앨범으로 발매된 것으로 70년대 시작되면서 다양한 변화가 시도된 앨범이다. 1953년 전쟁 직후 <남원의 애수>로 데뷔하여 1960년대를 대표하는 가수가 된다. 가수 뿐 아니라 작사와 작곡에서 능해  다양한 곡들을 작사 작곡에 참여했다. 백야성이 불러 대히트한 <잘있거라 부산항>도 백야성이 작곡했다.



[수록곡]

SIDE A

1. 회전의자 / 김용만 / 신봉승 / 하기송

2. 정열의 차차차 / 김용만 / 김용만 / 하기송

3. 토요일밤 10시 20분 / 김용만 / 천봉 / 한복남

4. 청춘 마도로스 / 김용만 / 김운하 / 한복남

5. 이별의 서울역 / 김용만 / 김해송 / 하기송

6. 국산연초 아리랑 / 김용만 / 월견초 / 손목인


SIDE B

1. 부산 마도로스 / 김용만 / 천봉 / 한복남

2. 태자성 나그네 / 김용만 / 손로원 / 하기송

3. 토정비결 / 김용만 / 주태익 / 하기송

4. 시골 사나이 / 김용만 / 김영일 / 형석기

5. 인생은 물레방아 / 김용만 / 김영일 / 형석기

6. 월급날 맘보 / 김용만 / 손로원 / 손목인



김용만 <청춘 마도로스>




김용만 <부산 마도로스>




2023년 8월 25일 금요일

[앨범 소개] 부모의은덕가 / 학도가 관학가

 부모의은덕가 / 학도가  관학가


[앨범 소개]

이 앨범은 1923년 발매된 것으로 <부모의 은덕가>와 <학도가> <권학가>가 들어가 있다. 흥미롭게 앨범에는 태극 무늬가 들어가 있다. 한국 최초의 앨범으로 만들어진 창가 형태의 노래이다. 1921년 앨범은 찾을 수 없고, 2913년경 재발매된 앨범은 이경호 소장이 소장하고 있다. 아래의 앨범도 이경호 소장의 것이다.



창가는 트로트가 생기기 직전 일본의 엔카와 서양의 음악들이 합성되어 만들어진 일종의 계몽가이다. 수많은 창가들이 있었지만 앨범으로 남겨진 최초의 창가는 이 앨범에 들어간 <학도가>이다. 노래는 개인이 아닌 합창 형식이며 이름은 '청년회원'으로 되어 있다. 초기의 창가는 대부분 교회에서 만들어졌다. <학도가>도 교회에서 불려진 노래로 보인다.


  • 학도가의 작사 작곡은 김인식으로 되어 있는 곳이 있다.


수록곡


  • 부모의 은덕가 / 청년회원
  • 학도가 관학가(권학가) / 청년회원


학도가 가사

 

학도야 학도야 청년 학도야

역사의 태동을 들어 보아라

소년은 이로에 학난성하니

일촌 광음도 불가경일세


청산 속에 묻힌 옥도

갈아야만 광채 나고

낙락 장송 큰 나무도

깎아야만 동량되네


공부하는 청년들아

너의 직분 잊지 마라

새벽 달은 넘어 가고

동천 조일 비쳐 온다


학도야 학도야 청년 학도야

역사의 태동을 들어 보아라

소년은 이로에 학난성하니

일촌 광음도 불가경일세



일제강점기부터 불려온 성경목록가 역시 학도가와 멜로디가 동일하다. 





한복남, 엽전 열닷냥, 가사

 엽전 열닷냥 엽전 열닷냥 개요 작사 천봉 작곡 한복남 노래 한복남 발표 1955년 이 노래는 1955년 도미도레코드에서 발매된 [엽전열닷냥/오동동타령]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발표 당시 두 노래 모두 사랑을 받았지만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