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9월 14일 목요일

한복남, 엽전 열닷냥, 가사

 엽전 열닷냥

엽전 열닷냥 개요

작사 천봉

작곡 한복남

노래 한복남

발표 1955년


이 노래는 1955년 도미도레코드에서 발매된 [엽전열닷냥/오동동타령]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발표 당시 두 노래 모두 사랑을 받았지만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은 큰 히트곡이 되었다. 앞면에는 '엽전 열닷냥'에 뒷면에는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이 실려 있었다.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


가사는 보면 1950년대가 아닌 조선시대임을 알 수 있다. 과거 시험을 위해 한양으로 떠나는 남편(낭군)을 위해 청노새 안장에 '열닷냥'을 넣어 준다. '청노새'는 푸른 빛을 띠는 노새라는 뜻이지만, 젊은 노새를 말한다. 아내는 남편이 과거에 급제하여 금의환양하기를 빈다.


엽전 열닷냥 가사


대장군 잘 있거라 다시 보마 고향산천

과거보러 한양 천 리 떠나가는 나그네에

내 낭군 알성급제 천 번 만 번 빌고 빌며

청노새 안장 위에 실어주던

아 엽전 열닷 냥

어젯밤 잠자리에 청룡 꿈을 꾸었더라

청노새야 흥겨워라 풍악따라 소리쳐라

금방에 이름 걸고 금의환양 그 날에는

무엇을 낭자에게 사서 가리

아 엽전 열닷 냥



조미미가 부르는 <엽전 열닷냥>




황정자, 오동동 타령, 가사

 오동동 타령


오동동 타령 개요

작사 야인초

작곡 한복남

노래 황정자

발표 1955년


황정자가 부른 '오동동 타령'은 전남 여수시의 '오동도'와 상관이 없다. 오동동은 경남남도 마산시(현 창원시 마산합포구)의 오동동이다. 오동동은 예로부터 기생과 술집이 많은 곳이었다. 술집 잡부들의 마음을 담아 지은 노래가 오동동 타령이다.


[오동동 타령 가사]


오동추야 달이 밝아 오동동이냐

동동주 술타령이 오동동이냐

아니요 아니요

궂은 비 오는 밤 낙수물 소리

오동동 오동동 그침이 없어

독수공방 타는 간장 오동동이요


통통떠는 뱃머리가 오동동이냐

사공의 뱃노래가 오동동이냐

아니요 아니요

멋쟁이 기생들 장구소리가

오동동 오동동 밤을 새우는

한량님들 밤놀음이 오동동이요


백팔염주 경불소리 오동동이냐

똑딱쿵 목탁소리 오동동이냐

아니요 아니요

속이고 떠나가신 야속한 님을

오동동 오동동 북을 울리며

정한수에 공들이는 오동동이요




2023년 8월 26일 토요일

한국 가요사 앨범 목록과 노래 모음

 한국가요사

한국대중가요 역사 속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곡을 선별한 앨범이다.


한국가요사 선정에 대한 이야기



한국가요사 1집

희망가 / 신카나리아

타향살이 / 고복수

강남제비 / 신카나리아

봄노래 / 계수남

외로운 가로등 / 이미자

이원애곡 / 고복수

해조곡 / 백난아

풍년송 / 황금심

목포의 눈물 / 이난영

사막의 한 / 고복수

황성옛터 / 윤복희

바다의 교향시 / 김정구

처녀총각 / 은방울자매

대지의 항구 / 백년설

대한팔경 / 황금심

세동무 / 고복수




한국가요사 2집

불효자는 웁니다 / 진방남

홍도야 울지마라 / 김영춘

짝사랑 / 고복수

휘파람 / 고복수

꽃마차 / 진방남

나는 17살이예요 / 신카나리아

감격시대 / 남인수

나그네 설움/ 백년설

눈물젖은 두만강 / 김정구

막간 아가씨 / 바니걸스



한국가요사 3집

선창 / 고운봉

낭랑18세 / 백난아

고향만리 사랑만리 / 진방남

삼천리 강상 에라 좋구나 / 신카나리아

복지만리 / 백년설

고향초 / 이미자, 백설희

해운대 엘레지 / 손인호

귀국선 / 이인권

갈매기 쌍쌍 / 백난아

아주까리 등불 / 최병호

금박댕기 / 백난아

일자일루 / 전칠성

임전화풀이 / 김부자

세세년년 / 진방남

 

한국가요사 4집

신라의 달밤 / 현인

백마강 / 허민

럭키서울 / 현인

청춘의 꿈 / 하춘화 이미자

고향만리 / 현인

약산 진달래 / 최숙자

가거라 38선 / 남인수

빈대떡 신사 / 한복남

초립동 / 최숙자

울고 넘는 박달재 / 박재홍

뗏목 이천리 / 최숙자

뒤져본 사진첩 / 김정구

강남달 / 신카나리아

회물선 사랑 / 박창오


한국가요사 5집

오동동타령 / 황정자

전선야곡 / 박일남

한강 / 심연옥

굳세어라 금순아 / 현인

홍콩아가씨 / 최정자

페르샤왕자 / 허민

닐리리 맘보 / 백설희

삼다도소식 / 황금심

꿈에 본 내 고향 / 한정무

비의 탱고 / 도미

추억의 소야곡 / 남인수 / 1937년

찔레꽃 / 백난아

비내리는 고모령 / 현인

물새우는 언덕 / 나애심


한국사요사 6집

1. 이별의 부산 정거장

2. 단장의 미아리 고개

3. 청포도 사랑

4. 장희빈

5. 에레나가된 순이

6. 미사의 종

7. 찾아온 산장

8. 청실홍실

9. 한많은 대동강

10. 앵두나무 처녀

11. 경상도 아가씨

12. 모녀기타

13. 유정천리

14. 가는봄 오는 봄

15. 산유화

16. 열아홉 순정

 

한국사요사 7집

1. 서울야곡

2. 산장의 여인

3. 뽕따러 가세

4. 선의 봄

5. 함경도 사나이

6. 판문점의 달밤

7. 아메리카 차이나 타운

8. 마음의 자유천지

9. 과거를 묻지 마세요

10. 물방아 도는 내력

11. 아리랑 목동

12. 청춘고백

13. 나하나의 사랑

14. 하이킹의 노래

15. 개나리 처녀

16. 전화통신


한국가요사 8집

1. 비내리는 호남선

2. 아내의 노래

3. 고향에 찾아와도

4. 행복의 일요일

5. 동백꽃 일기

6. 샌프란시스코

7. 울어라 기타줄

8. 푸른 언덕

9. 대전 블루스

10. 신라의 북소리

11. 캬츄샤의 노래

12. 돌아가자 하동포구

13. 비극은 없다

14. 망향의 탱고

15. 딸 칠형제

16. 고향의 그림자


한국가요사 9집

1. 진고개 신사

2. 님이라 부르리까

3. 안개

4. 두메 산골

5. 눈물의연평도

6. 불나비

7. 코스모스 피어있는 길

8. 삼일로

9. 노란 샤쓰의 사나이

10. 꿈은 사라지고

11. 삼천포 아가씨

12. 사랑이 메아리칠때

13. 황혼의 엘레지

14. 추풍령

15. 석류의계절

16. 바보처럼 울었다


한국가요사 10집


한국가요사 11집


한국가요사 12집

1. 아내모네

2. 우수

3. 검은 상처의 블르스

4. 외나무 다리

5. 산 너머 산촌에는

6. 꽃잎 지는 밤

7. 날개

8. 이별이 주고 간 슬픔

9. 빙점

10. 흑산도 아가씨

11. 타인들

12. 영등포의 밤

13. 초우

14. 황금의 눈

15. 아나 농부야

16. 뜨거운 안녕


한국가요사 13집

1. 물레방아 도는데

2. 사랑했는데

3. 비내리는 명동거리

4. 물새 한마리

5. 목화아가씨

6. 여고시절

7. 두개의 작은 별

8. 기다려

9. 이정표 없는 거리

10. 임소식

11. 고향의 강

12. 꽃반지 끼고

13. 순이 생각

14. 슬퍼도 떠나주마

15. 사랑의 진실


한국가요사 14집

1. 이슬비

2. 공항의 이별

3. 고향이 좋아

4. 잘했군 잘했어

5. 푸른시절

6. 오! 그대여

7. 조약돌

8. 새노야

9. 돌아와요 부산항에

10. 아씨

11. 녹슬은 기찻길

12. 나는 가야지

13. 친구야

14. 그냥 갈 수 없잖아

15. 나 그네길

16. 생각나면 오겠지


한국가요사 15집

1. 어디쯤 가고 있을까 / 전영

2. 감나무골

3. 이거야 정말

4. 너

5. 바람에 부는 편지

6. 사랑해

7. 그리운 사람끼리

8. 섬처녀

9. 행복

10. 아직도 그대는 내사랑

11. 내고향 충청도

12. 공항에 부는 바람

13. 잘 있거라 공항이여

14. 사랑의이야기


한국가요사 16집

1. 낭주골 처녀

2. 사랑은 장난이 아니랍니다

3. 그대 변치않는다면

4. 그 한마디

5. 김포공항

6. 도라지 고갯길

7. 소녀와 가로등

8. 임마중

9. 각시와 신랑

10. 영산강아 말해다오

11. 섬소년

12. 너와 나의 고향

13. 애심

14. 미운정 고운정

15. 나는 못난이


한국가요사 17집

1. 창밖의 여자

2. 바야야

3. 영일만 친구

4. 돌고 돌아가는 길

5. 얼룩 고무신

6. 그런거지 뭐

7. 모모

8. 바보처럼 살았군요

9. 그 때 그사람

10. 내가

11. 달구지

12. 빈 의자

13. 이 거리를 생각하세요

14. 탈춤


한국가요사 18집

1. 낙엽위의 바이올린 / 장욱조

2. 당신은 누구시길래 / 심수봉

3. 아무도 없지만 / 신중현과 뮤직파워

4. 그대여 / 이정희

5. 잊어야 한다면 / 장현

6. 서울 여선생 / 양희정

7. 여름 / 해바라기

8. 잊혀진 사랑 / 조용필

9. 별 / 은희

10. 내 마음 갈 곳을 잃어 / 최백회

11. 무교동 이야기 / 정종숙

12. 찔레꽃 찻집 / 조영남

13. 영원한 사랑 / 새샘트리오

14. 아기곰 / 권태수



한국가요사 19집

1. 푸른 날개

2. 만리포 사랑

3. 기다리게해놓고

4. 산비둘기

5. 갑돌이와 갑순이

6. 철없는 아내

7. 기분파 인생

8. 하숙생

9. 빗물

10. 남원의 애수

11. 떠나야 할 그 사람

12. 백마야 울지마라

13. 달타령

14. 세월이 가면


한국가요사 20집

1. 아름다운 강산

2. 영원한 친구

3. 미워 미워 미워

4. 어느 항구

5. 항구

6. 뭉게구름

7. 열애

8. 바람이려오

9. 기도

10. 맴도는 얼굴

11. 슬픈 계절에 만나요

12. 종이학

13. 다락방

14. 입영전야

 

하이킹의 노래, 도미 백설희

 하이킹의 노래


곡 소개


1959년에 발매된 [신라의 북소리 / 하이킹의 노래]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휴전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시대이지만 50년대 말은 대부분 노래들이 신나고 즐거웠다. 아마도 전쟁의 피폐함에서 벗어나 즐거운 삶을 되찾으려는 노력이 아닐까 싶다. 앞면에는 도미의 <신라의 북소리>가 이다.


1950년대 '하이킹'이라는 단어가 결코 익숙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냥 소풍이라고 해동 됐을 표현이지만 굳이 '하이킹'이란 단어를 사용함으로 세련되어 보이려는 의도가 있다. 신나게 젊은 친구들과 함께 보낸 즐거운 시간을 노래하고 있다.


백설희, 전영록의 모친이다.



하이킹의 노래 가사


1절

높은 산은 부른다 메아리가 들린다

흰 구름이 넌즈시 떠 있다 산새들도 노래부른다

휘파람 불며가자 저 산 너머로

정답게 걸어가는 하이킹 코스에는

산들바람이 산들산들 소근소근

그대여 내 사랑이여 젊은 날의 꿈이여.


2절

도봉산이 부른다 북악산도 부른다

찾아가자 대장군 봉우리 산울림도 즐거웁구나

부르자 하늘 높이 명랑한 노래

즐겁게 걸어가는 하이킹 코스에는

아지랑이 가물가물 가물가물

그대여 내 사랑이여 젊은 날의 로맨스.


3절

잔디풀밭 부른다 손짓하며 부른다

단둘이서 노래를 부르며 저어가자 저 산밑으로

새희망 새살림을 건설하면서

풀피리 불며가는 하이킹 코스에는

오색 무지개 아롱아롱 아롱아롱

그대여 내 사랑이여 젊은 날의 노래여.


도미 백설희 <하이킹의 노래>



도미의 최고의 히트곡 <청포도 사랑>

청포도의 사랑 역시 청년들의 사랑을 담고 있는 노래이다. 도미는 유난히 청년들의 사랑을 놀했다.




신라의 북소리, 도미

 신라의 북소리


곡 소개

도미의 <신라의 북소리>는 1959년에 발매된 [신라의 북소리 / 하이킹의 노래]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미도파에서 스플릿으로 발매된 이 앨범 뒷편에는 백설희의 <하이킹의 노래>가 들어가 있다. '신라의 북소리'는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는 노래이다.


  • 작사 야인초
  • 작곡 박시춘
  • 노래 도미
  • 발표 1959년


신라의 북소리 레코드


신라의 북소리 가사


1절

서라벌 옛 노래냐 북소리가 들려온다

말고삐 매달리며 이별하던 반월성

사랑도 두 목숨도 이 나라에 바치자

맹서에 잠든 대궐 풍경 홀로 우는 밤

궁녀들의 눈물이냐 궁녀들의 눈물이냐

첨성대 별은


2절

화랑도 춤이더냐 북소리가 들려온다

옥피리 불어주는 님 간 곳이 어데냐

향나무 모닥불에 공드리는 제단은

비나니 이 나라를 걸어놓은 승전을

울리어라 북소리를 울리어라 북소리를

이 밤 새도록


3절

금옥산 기슭에서 북소리가 들려온다

풍년을 노래하는 신라제는 왔건만

태백산 줄기마다 기를 꽂어 남기고

지하에 고이 잠든 화랑도의 노래를

목이 메어 불러 보자 목이 메어 불러 보자

달래어 보자






도미, 비의 탱고, 가사

비의 탱고

  • 작사 임동천
  • 작곡 나화랑
  • 노래 도미
  • 발표 1956년


비의 탱고 가사

비가 오도다 비가오도다

마지막 작별을 고하는 울음과 같이

슬픔에 잠겨 있는 슬픔의 가슴 안고서

가만히 불러 보는 사랑의 탱고


지나 간 날에 비 오던 밤에

그대와 마주 서서 속삭인 창살 가에서

달콤한 꽃 냄새가 아련히 쓰며 드는데

비소리 조용하게 사랑의 탱고






도미, 이럭저저럭, 가사

 이럭저럭

이럭저럭 해설

도미의 '이럭저럭'은 1960년대 발매된 '이럭저럭 인생' 앨범에 들어가 있는 대표곡이다. '킹스타 힛트 풍속가요선집'이란 부제를 달고 있는 이 노래는 당시 유행했던 흥미로운 노래들을 모아 발매한 것이다. 이 앨범에는 명국환의 아바비아 공주, 심연옥의 도라지 맘보, 송민도의 사랑피는 거리 등이 있다.


작사 ?

작곡 나화랑

편곡 나화랑

노래 도미

발표 1956년?




이럭저럭 가사


1절

불상한 나그네 이 밤이 서러워

한잔술에 취하여 밤길을 찾어왔오.

대포한잔 주시유 어여뿐 아가씨

집도 없는 타향살이 님도 없는 타향살이

이럭저적 사는 인생 당신이나 바라보며 웃고 싶어유

  • '불상한'은 '불쌍한'의 이전 표현이다.


2절

외로운 나그네 고향이 그리워

옛추억을 잊고져 주막을 찾어 왔오

푸대접을 말아유 새침한 아가씨

인정 없는 타향 살이 돈도 없는 타향 살이

이적저럭 사는 인생 하룻밤 풋사랑에 웃고 싶어유

  • 대포(大匏)는 큰 바가지란 뜻이다. 술을 풀 때는 바가지를 사용해 펐다는 데서 유래하며, 대포집이란 표현을 써싿. 대포집은 직역하면 바가지집이란 뜻이다.




한복남, 엽전 열닷냥, 가사

 엽전 열닷냥 엽전 열닷냥 개요 작사 천봉 작곡 한복남 노래 한복남 발표 1955년 이 노래는 1955년 도미도레코드에서 발매된 [엽전열닷냥/오동동타령]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발표 당시 두 노래 모두 사랑을 받았지만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