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독립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독립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2월 19일 일요일

봉선화, 김형준 시, 홍난파 작곡

조선의 처녀, 민중의 저항 정신을 담다


<봉선화>는 삼일운동이 일어나 얼마 지나지 않을 때인 1920년 만들어진 조선 최초의 가곡이다.

 

울 밑에 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 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 필 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너를 반겨 놀았도다

-김형준 시, 홍난파 작곡



이 노래는 3.1운동을 계기로 도쿄음악학교를 중퇴하고 귀곡한 난파 홍영후가 작곡을 했다. 사랑하는 고국을 위한 곡이었다. 하지만 아직 작사를 하지 못해 간직하고 있었다. 5년 지난 후 1925년 무렵 양악계의 선구자로 알려진 김형준이 시를 붙어 노래를 완성한다.


봉선화는 조선의 처녀를 뜻한다. 청초한 조선의 처녀들을 상징하는 붕숭화는 예로부터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여름이 되면 울 밑에 피어나는 봉숭아 꽃잎을 따서 손톱에 물을 드린다. 


살짝만 건드려고 가지가 부러지는 약한 꽃이다. 그래서 늘 사람들의 발길이 닿지 않는 조용한 곳에 혼자서 피어났다. 꽃이 지고 씨방이 익어 어느 날 툭 터지며 사방으로 씨를 날린다.


예로부터 봉선화는 민중의 저항 정신을 뜻했다. 그러나 사랑하는 이에게 아름다움을 주는 꽃이다. 소박하고 작디작은 행복을 간직한 봉숭아다.


<봉선화> 2절

북풍한설 찬바람에

내 형체가 없어져도

평화로운 꿈을 꾸는

너의 혼은 예 있으니

화창스런 봄바람에

환생키를 바라노라.


조선의 독립 정신은 담은 봉선화는 전국 방방곡곡에 퍼져 나갔다. 

한복남, 엽전 열닷냥, 가사

 엽전 열닷냥 엽전 열닷냥 개요 작사 천봉 작곡 한복남 노래 한복남 발표 1955년 이 노래는 1955년 도미도레코드에서 발매된 [엽전열닷냥/오동동타령]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발표 당시 두 노래 모두 사랑을 받았지만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