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이재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이재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8월 26일 토요일

[앨범 소개] 나그네 설음 / 남양의 눈물

 나그네설음 / 남양의 눈물

'설음'은 당시 사용된 문법체계이며, 현제는 '설움'으로 사용한다.


곡 소개

  • 발매일 1940년 2월
  • 제작사 타이헤이
  • 앨범유형 스플릿
  • 앨범번호 8665





수록곡

나그네 설음 / 백년설 / 조경환 / 이재호

남양의 눈물 / 나성려 / 고려성 / 육오명


백년설을 최고의 스타로 만들어준 <나그네 설움>이 들어가 있는 곡이다.일제강점기 시절, 고향을 떠나 떠도는 생활은 나라 잃은 설움을 그대로 보여준다. 정처 없다. 한이 없다. 한이 서린다. 태양도 없다 등의 표현은 나라 잃은 설움을 잘 보여준다.


백녀설의 너그네 설음



[나그네 설움 가사]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 없는 이 발길
지나온 자국마다 눈물 고였다
선창가 고동소리 옛님이 그리워도
나그네 흐를 길은 한이 없어라

타관 땅 밟아서 돈지 십 년 너머 반평생
사나이 가슴속엔 한이 서린다
황혼이 찾아들면 고향도 그리워져
눈물로 꿈을 불러 찾아도 보네

낯익은 거리다마는 이국보다 차가워
가야 할 지평선엔 태양도 없어
새벽 별 찬서리가 뼈골에 스미는데
어디로 흘러 거랴 흘러갈쏘냐

나성려 남양의 눈물




나성려

나성려의 본명은 김숙희이며, 출생은 정확하지 않으나 1978년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저고리 시스터즈에서 활동했으며 히트곡으로는 <남양의 눈물> <임 찾는 발길> <절연편지> <무명화올시다> <쌍굴뚝 이별> 

2023년 8월 20일 일요일

귀국선, 이인권

 귀국선


작사 손회몽 (손로원) 

작곡 이재호

노래 이인권

발표 1945년 


  • *손로원의 본명은 손회몽이다. 손로원의 다른 필명으로 불방각, 손영각 등이 있다.


[곡 해설]

해방 후 조국을 그리워하며 살아가던 수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찾아 돌아오게 된다. 미국이나 유럽까지 떠난 이들도 있었지만 대부분 일본, 중국의 상하이, 만주 등지에서 지내다 해방의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돌아간 것이다.

고국으로 돌아온 이들은 그동안의 설움을 잊고 기쁨으로 복받쳤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이재호와 손로원을 '귀국선'이란 제목으로 노래를 만들게 된다. 배경은 부산항으로 들어오는 귀국선을 보고 만든 것이다.





[귀국선 가사]

돌아오네 돌아오네 고국 산천 찾아서

얼마나 그렸던가 무궁화 꽃을

얼마나 외쳤던가 태극깃발을

갈매기야 웃어라 파도야 춤춰라

귀국선 뱃머리에 희망은 크다

 

돌아오네 돌아오네 부모 형제 찾아서

몇번을 울었던가 타국살이에

몇번을 불렀던가 고향 노래를

칠성별아 빛나라 달빛도 흘러라

귀국선 고동 소리 건설은 크다

 

돌아오네 돌아오네 백의동포 찾아서

얼마나 싸웠던가 우리 해방을

얼마나 찾았던가 우리 독립을

흰구름아 날아라 바람은 불어라

귀국선 파도 위에 새 날은 크다




한복남, 엽전 열닷냥, 가사

 엽전 열닷냥 엽전 열닷냥 개요 작사 천봉 작곡 한복남 노래 한복남 발표 1955년 이 노래는 1955년 도미도레코드에서 발매된 [엽전열닷냥/오동동타령]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발표 당시 두 노래 모두 사랑을 받았지만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