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백설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백설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8월 26일 토요일

하이킹의 노래, 도미 백설희

 하이킹의 노래


곡 소개


1959년에 발매된 [신라의 북소리 / 하이킹의 노래]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휴전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시대이지만 50년대 말은 대부분 노래들이 신나고 즐거웠다. 아마도 전쟁의 피폐함에서 벗어나 즐거운 삶을 되찾으려는 노력이 아닐까 싶다. 앞면에는 도미의 <신라의 북소리>가 이다.


1950년대 '하이킹'이라는 단어가 결코 익숙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냥 소풍이라고 해동 됐을 표현이지만 굳이 '하이킹'이란 단어를 사용함으로 세련되어 보이려는 의도가 있다. 신나게 젊은 친구들과 함께 보낸 즐거운 시간을 노래하고 있다.


백설희, 전영록의 모친이다.



하이킹의 노래 가사


1절

높은 산은 부른다 메아리가 들린다

흰 구름이 넌즈시 떠 있다 산새들도 노래부른다

휘파람 불며가자 저 산 너머로

정답게 걸어가는 하이킹 코스에는

산들바람이 산들산들 소근소근

그대여 내 사랑이여 젊은 날의 꿈이여.


2절

도봉산이 부른다 북악산도 부른다

찾아가자 대장군 봉우리 산울림도 즐거웁구나

부르자 하늘 높이 명랑한 노래

즐겁게 걸어가는 하이킹 코스에는

아지랑이 가물가물 가물가물

그대여 내 사랑이여 젊은 날의 로맨스.


3절

잔디풀밭 부른다 손짓하며 부른다

단둘이서 노래를 부르며 저어가자 저 산밑으로

새희망 새살림을 건설하면서

풀피리 불며가는 하이킹 코스에는

오색 무지개 아롱아롱 아롱아롱

그대여 내 사랑이여 젊은 날의 노래여.


도미 백설희 <하이킹의 노래>



도미의 최고의 히트곡 <청포도 사랑>

청포도의 사랑 역시 청년들의 사랑을 담고 있는 노래이다. 도미는 유난히 청년들의 사랑을 놀했다.




2023년 8월 23일 수요일

[앨범 소개] 이별의 부산 정거장 / 첫사랑의 문

 이별의 부산 정거장, 첫 사랑의 문


[앨범 소개]

발매일 1954년

제작사 유니버살

앨범유형 스플릿


한 때 잘나가던 남인수 였지만 해방 이후는 그리 인기를 끌지 못했다. 그러다 전쟁 이듬해인 1954년 <이별의 부산 정거장>을 부른 후 제2의 전성기를 맞을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전쟁 직후 피난처은 부산에서 맺은 사랑과 이별을 노래한다.



남인수의 <이별의 부산 정거장>은 내용은 전쟁으로 피폐화된 상황과 이별의 슬픔을 담고 있지만 멜로디는 빠르고 경쾌하고즐겁니다. 백설희가 부른 <첫사랑의 문>은 열아홉 아가씨 가슴에 피어나는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역시 경쾌하고 즐겁다. 전쟁 직후에 만들어진 노래라고는 믿지 않을 정도로 밝고 경쾌하다.


[수록곡]

SIDE A

1. 이별의 부산 정거장 / 남인수 / 호동아 / 박시춘

SIDE B

첫사랑의 문 / 백설희 / 손로원 / 박시춘


이별의 부산 정거장, 남인수


첫사랑의 문, 백설희



2023년 8월 20일 일요일

봄날은 간다, 백설희

 백설희 <봄날은 간다>는 무명이었던 백설희는 최고의 인기 가수로 만들어준 노래이다. 발매 직후 얻은 인기는 아직도 식지 않고 있으며, 수많은 후배 가수들에의해 다시 불려지는 노래이다.


봄날은 간다

작사 손로원

작곡 박시춘

노래 백설희

발표 1954년


[봄 날은 간다 가사]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오늘도 옷고름 씹어가며

산제비 넘나드는 성황당 길에

꽃이 피면 같이 웃고

꽃이 지면 같이 울던

알뜰한 그 맹세에 봄날은 간다

-간주-

새파란 풀잎이

물에 떠서 흘러가더라

오늘도 꽃편지 내던지며

청노새 짤랑 대는 역마차 길에

별이 뜨면 서로 웃고

별이 지면 서로 울던

실 없는 그 기약에 봄날은 간다


봄날은 간다 해설

백설희 <봄 날은 간다> 는 육이오 전쟁을 배경으로 한다. 전장에 사랑하는 이를 보내고 기다리는 마음을 담고 있다. 아름다운 봄,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린다. 하지만 사랑하는 님은 내 곁에 없다. 다시 볼 수도 없다. 아련하고 슬픈 한 맺힌 봄의 찬란함이여.


백설희의 <봄날은 간다>



김윤아의 <봄날은 간다>

비슷한 의미지만 느낌이 너무나 다르다. 시대 차이인가 보다. 시대는 흘러 2001년, 유지태와 이영애 주연의 '봄날은 간다'는 방송일로 만나 사랑의 감정을 확인하고 뜨거운 시간을 보낸다. 하지만 결국 감정과 현실은 다른가 보다. 봄 날은 그렇게 흘러 간다.




고향은 내사랑, 남인수

 이 곡은 1954년 유니버샬레코드에서 발매한 <고향은 내사랑 / 봄날은간다>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이 앨범은 무명의 백설희를 일약 스타로 만든 앨범이기도하다. 오늘은 남인수의 <고향은 내사랑>을 들어보자.


고향은 내사랑

작사 호동아

작곡 박시춘

노래 남인수

발매 1954년





[고향은 내사랑 가사]


찔레꽃이 피어 있네

고향에 묻은 꿈 속의 날

잘 있소 잘 가오

눈물로 헤어지던 날

그대는 대답 없고

구슬픈 산울림만 울려주니

그때 피었던

찔레꽃이 피어 있네


해당화가 피어 있네

추억에 젖은 어린 시절

꼭 오지 꼭 오마

손가락 헤어본 시절

그대는 가고 없고

외로운 새소리만 들려 오니

그때 피었던

해당화가 피어 있네



한복남, 엽전 열닷냥, 가사

 엽전 열닷냥 엽전 열닷냥 개요 작사 천봉 작곡 한복남 노래 한복남 발표 1955년 이 노래는 1955년 도미도레코드에서 발매된 [엽전열닷냥/오동동타령]에 들어가 있는 곡이다. 발표 당시 두 노래 모두 사랑을 받았지만 황정자의 '오동동 타령...